2025년 04월 03일
다언삭궁(多言數窮)
본문
‘다언삭궁(多言數窮)’이란 말이 많으면 자주 궁지에 몰린다는 뜻입니다. 보통 남자들은 하루 평균 7,000단어를 말하고 여자들은 2만 단어를 말한다고 합니다. 이런 차이는 남녀의 뇌 구조와 화학적 구성이 다른 데서 비롯된다고 합니다.
여러분은 말을 많이 하는 편입니까? 적게 하는 편입니까? 말에도 절제의 미덕이 필요합니다. 재판 사건 중에서 잘못된 말로 아까운 물질과 시간을 낭비하고 심하면 가정이 갈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았더라면 아무 문제가 생기지 않고 재판까지 가지 않을 수도 있는데 말 때문에 생기는 일이 참 많다고 합니다.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하라”(약1:19). 인디언들은 적게 말하고 오래 듣는다고 합니다. 현대 사회는 자기 PR(선전) 시대라 말을 많이 하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최고로 말을 잘하는 사람은 자기 자랑이 아니라 남을 인정하고 격려하고 칭찬하여 상대를 살리는 말하기를 즐기는 사람입니다. 말을 하고 싶을 때 ‘침묵은 말을 하지 않음으로써 더 많은 말을 하는 것이다.’라는 말을 기억한다면 다언삭궁의 교훈으로 빛이 날 것입니다.
‘재림신앙 이음’ 어린이를 위해 기도해 주세요: 장예서, 조영(예문교회)
여러분은 말을 많이 하는 편입니까? 적게 하는 편입니까? 말에도 절제의 미덕이 필요합니다. 재판 사건 중에서 잘못된 말로 아까운 물질과 시간을 낭비하고 심하면 가정이 갈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았더라면 아무 문제가 생기지 않고 재판까지 가지 않을 수도 있는데 말 때문에 생기는 일이 참 많다고 합니다.
“내 사랑하는 형제들아 너희가 알거니와 사람마다 듣기는 속히 하고 말하기는 더디 하며 성내기도 더디하라”(약1:19). 인디언들은 적게 말하고 오래 듣는다고 합니다. 현대 사회는 자기 PR(선전) 시대라 말을 많이 하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최고로 말을 잘하는 사람은 자기 자랑이 아니라 남을 인정하고 격려하고 칭찬하여 상대를 살리는 말하기를 즐기는 사람입니다. 말을 하고 싶을 때 ‘침묵은 말을 하지 않음으로써 더 많은 말을 하는 것이다.’라는 말을 기억한다면 다언삭궁의 교훈으로 빛이 날 것입니다.
‘재림신앙 이음’ 어린이를 위해 기도해 주세요: 장예서, 조영(예문교회)
- 이전글다다익선(多多益善)
- 다음글학수고대(鶴首苦待)